분류 전체보기(643)
-
플라즈마 방전 장치, RF 케이블 발열 문제에 대한 생각
진공 증착 장비, 에칭 장비 등등에서 박막 제조를 위해 사용하는 플라즈마. 그리고,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많은 파워 중에서 가장 보편화 되어 있는 13.56MHz의 RF파워. 우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등의 꽤 많은 분야에서 RF 파워 플라즈마 장치를 응용하고 있습니다. 일반 DC 플라즈마 장치보다는 RF 파워 플라즈마 장치가 구성이 다소 복잡하고, 매칭네트워크 등이 필요해서 다소 복잡한 면도 있습니다. 그러나, 절연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박막의 표면 특성이 개선되는 것이 많아서 RF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런 RF 방전 플라즈마 장치는 여러 가지 고려 할 점이 많이 있지만, 오늘은 RF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발열 문제에 대해서 적어 보려고 합니다. RF 플라즈마 방전 장치..
2020.04.08 -
미국 증시 큰 폭 상승 기록
불과 지난 주말만 해도 시장 상황은 별로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었다. 그런데, 월요일이 되자 무슨 마법이 일어난 것처럼 엄청난 기세로 상승을 기록했다. 정말 예측 할 수 없는 것이 주식 시장일 것이다. 무엇에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란 말인가? 4월 7일 오전 상태. 미국의 상황이 하루 아침에 좋아졌다는 것인가? 아니면 원유 감산에 관한 희망적인 불꽃이 살아나서 그런 것인가? 그 어떤 면을 보아도 이정도 폭등에 상응하는 소식은 없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상한 일이다. 미국의 정책에 대한 희망으로 이렇게 오른다면 다소 경계해야 할 일이라 생각한다. 정말 지금이 바닥이라면, 나는 바닥을 놓친 것이다.
2020.04.07 -
삼성 인버스 2X WTI원유 선물 ETN 특이 사항 발생
러시아와 사우디의 감정 싸움으로 9일로 연기된 회의 일정이 긍정적인 기대를 한 껏 받으며, 인버스의 폭락을 초래 하였다. 레버리지는 40%가 넘는 급등을 하였으므로, 오늘 인버스는 비교적 선방 했다고 보아도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한가지 아주 특이한 것이 있었는데, 외국인 순매수 13000주 이다. 이제껏 한번도 들어온 적이 없는 외국인 중에 하나가 들어온 것이다. 금액도 1억 미만인 것 같은데, 왜 들어 온 걸까? 당분간 추가 매입이 있는지 지켜 보아야 할 것 같다. ****************************** 리서치 센터의 판단 참고 미국의 사우디/러시아 원유 관세 부과는 압박용으로 형편없는 카드이다. 사우디와 러시아의 견해차이는 분명하다. 실질적 행동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미국의 양보가..
2020.04.06 -
현시점 미국 경제 상황 뉴스 2가지, 부동산과 원유
미국이 코로나로 경제적 위기를 이야기 하는데, 그중에서 가장 큰 폭탄 중에 2가지가 부동산과 원유가 아닐까 생각된다. 그런면에서 2가지 뉴스가 눈에 들어왔다. 그냥 지나 칠 수도 있는 뉴스이지만, 나름 의미를 부여해 볼까 한다. https://mnews.joins.com/amparticle/23745887 결국 美셰일업체 첫 파산…월가 '도미노 부도' 공포에 떤다 미국 셰일업계에서 올해 첫 파산 사례가 나왔다. 1일(현지 시간)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셰일가스를 채굴·생산하는 화이팅 페트롤리엄(Whiting Petroleum)은 경영 악화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파산보호신청을 했다. 신용평가사 무디스에 따르면 올해부터 2024년 사이 만기가 돌아오는 북미 지역 에너지 기업의 부채는 총 86 news.joi..
2020.04.04 -
RF 케이블 정보 참고 자료 2020.04.02
-
현 시국 관심 있는 몇 가지 정리, 구글 트렌드 검색
구글 트렌드로 몇가지 확인 해 보았습니다. 체불 임금에 관심이 많은 곳은 서울, 경기도, 부산 부동산에 관심이 많은 곳은 서울, 경기도, 충청남도, 부산, 대전. 특히, 서울과 대전이 부동산에 관심이 높은데, 하락 하면 가장 큰 충격이 예상됩니다. 가게 권리금에 관심이 많은 곳은 서울, 경기도, 대구, 부산. 권리금이 형성되어 있는 상권이 서울, 경기, 대구, 부산 정도 밖에는 안되는 것 아닌가 생각됩니다. 무급 휴가에 관심이 많은 곳은 전국적이기는 한데, 전라남도만 제외. 서울, 강원도, 제주도가 가장 많습니다. 서울은 그렇다 치고, 관광이 주 수입원인 지역은 타격이 큰 것 아닌가 생각됩니다.
2020.04.01